News
뉴스
Beijer Ref ‘CO2 Transcritical System’ 냉동창고 E절감 ‘주목’ |
|
첨부파일 | |
http://www.hvacrj.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389
Beijer Ref ‘CO2 Transcritical System’ 냉동창고 E절감 ‘주목’-ATMO Europe Summit 2023서 ‘CO2 Transcritical System 설치사례’ 공유
CO2 냉동기 글로벌 리딩기업이자 Beijer Ref group의 일원인 SCM FRIGO가 CO2 Transcritical System이 적용된 냉동창고 운영 현장의 높은 에너지절감 사례를 공유하며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CO2 냉매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는 R744.com은 2024년 1월 10일 이러한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흥미로운 포스트를 게시했다. 지난해 9월 벨기에에서 개최된 ‘ATMOsphere(ATMO) Europe Summit 2023’에서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자연냉매 기술의 최신 동향 및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ATMO Europe Summit 2023의 냉동시스템 연구 세션에서 SCM FRIGO의 R&D 엔지니어인 Federica Rossetti는 이탈리아 냉동창고 운영기업인 Sagat의 Andrea Zanchetta 대표와 공동으로 CO2 Transcritical System 설치사례 분석을 발표했다.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한 냉동창고 운영기업인 Sagat는 사용하고 있던 R404A 냉동시스템 일부를 CO2 Transcritical System으로 교체해 에너지비용, 기타 설비의 설치 및 유지보수, 운영비용 등을 절감했다. 이를 통해 R404A 대비 상승한 설비 비용은 4.7년 내 회수될 전망이다. 15년의 시스템 운영기간 동안 자본 및 운영비용 등을 포함한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LCC)을 고려한다면 CO2 Transcritical System은 남아있는 R404A 사용 설비보다 7.4% 더 저렴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탈리아 냉동창고기업 Sagat, 2030년까지 CO2로 완전 교체 Sagat는 이탈리아 Treviso 지방에서 5만2,000m³ 규모의 냉동창고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9년 SCM FRIGO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20여 년간 사용해온 R404A 냉동시스템을 CO2로 전환하고 있다. Sagat는 오는 2030년까지 모든 냉동시스템을 CO2로 완전히 교체할 계획이다. Sagat가 도입한 CO2 설비는 SCM FRIGO의 Transcritical Booster System 두 대로 가스쿨러 통합형 유니트로 구성돼 외부에 설치됐다. 증발온도 –32°C에서 5개 냉동창고, 총 1만6,000m³ 공간에 260kW(74RT)의 냉동용량을 공급한다. 또한 Sagat는 10대의 R404A 냉동기를 비교그룹으로 지정했다. ‘216Kw(61.4RT) @ 증발온도 -33°C’ 용량의 냉동창고 5개와 ‘180kW(51.2RT) @ 증발온도 0°C’ 용량의 적재구역이 포함된 총 3만6,000m³ 공간이다. 여름철 SCM FRIGO의 CO2 시스템의 월평균 에너지소비량은 2.9kWh/m³을, R404A는 2.8kWh/m³를 기록했다. 그러나 겨울철 에너지사용량은 1.6kWh/m³(CO2)와 2.2kWh/m³(R404A) 차이로 CO2시스템이 R404A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나타냈다. 연간 기록을 종합하면 R404A는 월평균 2.7kWh/m³를, CO2는 2.2kWh/m³를 사용하며 CO2 시스템이 R404A보다 에너지를 평방미터당 19% 덜 사용했음을 확인했다. Rossetti는 발표를 통해 “R404A 및 CO2 냉매 기반 시스템을 같은 현장에서 동시에 운영함으로써 두 기기의 성능을 면밀히 비교하고 에너지절감 효과를 문서화할 수 있었다”라며 “CO2 냉매는 가장 추운 달에 높은 성능을 보인 반면 가장 더운 달에는 최대 소비량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이어 “R404A는 오직 기온이 25~27°C 이상일 경우에만 에너지절감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냉동공조저널 성백진 기자)
<기사 전문은 하단 '본문바로가기' 버튼 클릭>
|